뉴스
[미주교계뉴스] “장애인이 없는 교회는 불완전한 교회”
페이지 정보
본문
제3회 한인교회 발달장애 컨퍼런스 성료 미주 30개 교회•12개 기관 동참, 370여 명 참석, 미주 한인교회 장애사역 전환점 확인

미주 한인교회가 장애사역을 교회의 주변부가 아닌 본질적 사명으로 복원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인되었다.
제3회 한인교회 발달장애 컨퍼런스가 10월 17–18일 충현선교교회(담임 국윤권 목사)에서 열렸으며, 전 미주 30개 교회 및 12개 기관, 총 370여 명이 참석하였다.
본 컨퍼런스는 충현선교교회와 미주복음방송(사장 이영선 목사)이 공동 주최하였으며, Charis Church와 그레이스미션대 학교, 미주밀알선교단, 남가주밀알선교단이 협력하였다. 또한 18명의 전문 강연자와 27개의 후원 기관, LA 정신건강국 및 Regional Center 등 관련 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컨퍼런스 운영과 정보 제공에 동참하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A Church without Disabled people is a Disabled Church (장애인이 없는 교회는 곧 불완전한 교회)”라는 주제로, 장애인을 보호의 대상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회론적 전환을 제시하였다.
기조강연자로 나선 김바나바 목사(퀸즈한인교회)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목회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이 함께 서 있을 때 교회가 온전하다”고 증언했다.
『Jesus & Disability』 저자 Dr. Chris H. Hulshof 교수(리버티대학교)는 성경적 근거 위에서 포용적 교회 리더십의 핵심 요소(이해·신뢰·안전·접근성·희생)를 제시하였다.
김홍덕 목사(조이 장애선교센터)는 단순히 장애를 고쳐야 할 대상으로 보거나, 극복해야 할 시련으로 여기는 대신, 참여와 포용을 기반으로 한 은혜 공동체의 관점으로 전환해야함을 강조하며, 나병환자 치유 사건을 통해 예수의 치유가 사회적 복귀 까지 포함한다는 점을 들어 장애사역은 복지 영역이 아닌 복음의 영역임을 강조했다.
또한 특수교육·사회복지·목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8명이 참여하여, 예배·목회·교육·부모돌봄·성인기 사역·현장연계 등 전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신학적 해석과 실제 적용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그레이스미션대학교의 협력으로 부모특별세션이 진행되었고, 남가주밀알선교단이 차일드케어를 전담 하여 부모들이 세션에 온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LA 한인정신건강국과 포모나 리저널센터 등 관련 기관이 부스로 참여해 현장에서 실질적 정보와 연계 자원을 제공하였다.
패널토의에서는 모두가 함께 예배하고 성장하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실천적 인사이트를 제공하였고, 장애 성도가 유아기 부터 성인기까지 동일 공동체 안에서 신앙·관계·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교회 구조의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 다.
또한, TBRI(신뢰 기반 관계 개입)와 ASD 친화적 환경 적용 사례가 소개되었으며, 부모의 고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발 적 선의가 아니라 훈련·정책·조직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이 재확인되었다.
이영선 사장(미주복음방송)은 “CDC에 따르면 ASD 유병률은 1·150(2000년)에서 1·31(2022년)로 5배 증가했다”며 “이 는 교회가 반드시 응답해야 할 시대적 명령”이라고 말했다. 국윤권 목사(충현선교교회)는 “장애인이 예배 중심에 함께 서는 교회만이 복음의 본질을 드러낸다”고 강조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미주 한인교회가 장애사역을 특수분과 사역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적 사명으로 회복하는 전환점이자, 구조 적 변화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또한, Wordly AI 동시통역 자막 서비스를 적용하여 실시간 번역자막을 제공함으로써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으며, 모든 강 연 영상은 미주복음방송 유튜브 채널과 전용 웹사이트(www.k-churchconference.org)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 이전글코너스톤교회 32주년, 이종용 목사 은퇴식도 함께 25.10.22
- 다음글은혜 한인교회 '기독영화 감상회' 25.10.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