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 10명 중 6명, 교회소속 없이 신앙생활 가능한가! > 글로벌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글로벌뉴스] 기독교인 10명 중 6명, 교회소속 없이 신앙생활 가능한가!

작성일 : 2025-04-13

페이지 정보

본문

가나안성도 증가세 지속.. 20대 기독청년 44%, 출석교회 없다
신앙의 기준은 “윤리적인 삶”, “겸손한 태도” 우선 꼽아

종교 단체에 소속하지 않아도 종교 생활이 가능할까?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 10명 중 6명꼴로 ‘그렇다’고 응답했다. 한국 목회데이터연구소의 최근 발표에 의하면 이는 기독교인의 제도화된 교회에 대한 의존도가 비기독교인 수준과 비슷해졌음을 의미하며, 탈종교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주목된다. 

다만 종교별로 보면 불교인, 가톨릭인 등 타 종교보다는 ‘기독교인’의 종교 단체 소속 의지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눈에 띄는 점은 오히려 ‘무종교인’의 경우 ‘종교 단체 소속되지 않아도 종교 생활이 가능하다’는 응답이 가톨릭인, 불교인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이다.


0717f5572bc9347d7a606efd3d80f160_1744600129_2056.png
가나안성도 증가세 지속...20대 기독청년 44% ‘출석 교회 없다’고 밝혀 충격이다. 

탈종교화의 대표적인 현상인 가나안성도의 증가를 이번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의 한국 기독교 분석 리포트 자료에서 보면 2012년 교회 비출석 기독교인, 즉 가나안성도는 11% 수준이었는데 2017년 20%를 넘어섰고, 2023년 29%까지 올라갔다. 본 조사인 2024년에는 31%로 30%대에 진입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청년세대의 종교성 약화가 뚜렷하다. 20대가 44%로 ‘출석 교회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고, 30대와 40대도 각각 38%, 39%로 중노년층 세대보다 높은 편이었다.


0717f5572bc9347d7a606efd3d80f160_1744600150_5196.png
 

그렇다면 바람직한 신앙인의 기준은 무엇일까,  ‘윤리적 삶’과 ‘겸손한 태도’!

바람직한 신앙인은 어떤 모습일까? 라늘 질문에 대해 응답자들은 신앙인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간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윤리적인 삶’과 ‘겸손한 태도’가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진정한 신앙인은 종교적인 열심과 지식보다 겸손과 윤리적인 삶을 통해 그 가치를 드러내는 셈이다.


0717f5572bc9347d7a606efd3d80f160_1744600161_3262.png

기독교인 응답자들은 좋은 교회의 기준을 예배에, 비기독교인들은 사회적 책임 실천(봉사)에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렇다면 좋은 교회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무엇일까? 기독교인은 ‘경건한 예배와 말씀’(39%), ‘사회적 약자를 향한 봉사와 구제’(26%), ‘서로 돌봄’(13%) 순으로 응답했고, 비기독교인은 ‘사회적 약자를 향한 봉사와 구제’(43%)를 압도적으로 꼽았고, 이어 ‘경건한 예배와 말씀’(13%), ‘서로 돌봄’(9%) 등의 순이었다. 비기독교인은 교회의 역할이 사회적 책임 실천, 특히 사회적 약자에 대한 봉사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0717f5572bc9347d7a606efd3d80f160_1744600172_3718.png
 

종교인의 사회적 이미지와 정치적 태도에 대한 설문에서 기독교인에 관한 무종교인의 호감도는 한 자리수(9%)에 불과하다는 충격적인 분석이다.

종교인에 대한 호감도를 종교별로 살펴본다. 모든 종교인이 자신의 종교에 대한 호감도를 가장 높게 응답했고, 무종교인의 경우 ‘불교인’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았다.

가톨릭인에 대한 기독교인의 호감도가 2순위(38%)였으나 기독교에 대한 가톨릭인의 호감도는 4위(21%)였고, 불교인(19%)과 무종교인(9%)의 기독교 호감도도 4~5위로 나타나 기독교인에 대한 비기독교인의 불신과 반감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0717f5572bc9347d7a606efd3d80f160_1744600182_4288.png
 

주목되는 것은 동료 기독교인에 대한 호감도가 젊은 세대, 혹은 가나안성도일수록 낮다는 사실이다.

같은 기독교인에 대한 호감도를 ‘연령별’, ‘출석 교회 유무별’로 살펴본 결과, 연령대가 낮을수록 ‘긍정적이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20대의 동료 기독교인에 관한 호감도는 48%, 30대 47%인데 반해 60대는 77%, 70세 이상 78%로 젊은 기독교인은 같은 기독교인에 대해 중노년층 대비 호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석교회가 없는 ‘가나안성도’(43%)의 경우 ‘출석 교인’(73%)보다 같은 기독교인에 대한 호감도가 크게 낮았다. 


0717f5572bc9347d7a606efd3d80f160_1744600193_524.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